본문 바로가기

2024학년도 수능 원점수 등급컷 총정리|국어·수학·영어·탐구까지 한눈에 보기

AnswerKey 2025. 11. 11.
반응형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끝나고, 많은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바로 과목별 원점수 기준 등급컷입니다. 이 글에서는 국어, 수학, 영어, 사회탐구, 과학탐구 영역의 등급컷을 원점수 기준으로 총정리하였으며, 향후 입시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분석 포인트와 특징도 함께 담았습니다.

 

 


국어 영역 등급컷 (화법과 작문 / 언어와 매체)

2024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은 선택과목 구조(공통+선택)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선택 과목에 따라 등급컷이 달랐습니다.

 

등급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1등급 88점 84점
2등급 81점 77점
3등급 72점 69점
4등급 62점 59점
5등급 52점 49점
6등급 42점 39점
7등급 32점 29점
8등급 22점 20점
9등급 12점 이하 10점 이하

분석: 전반적으로 언어와 매체가 화법과 작문에 비해 더 어렵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상위권 수험생일수록 언어와 매체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 난이도 상향의 영향이 컸습니다.


수학 영역 등급컷 (확률과 통계 / 미적분 / 기하)

 

수학도 공통+선택 과목 구조로 운영되며, 선택 과목별 등급컷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등급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1등급 94점 81점 88점
2등급 84점 73점 78점
3등급 74점 63점 68점
4등급 59점 50점 54점
5등급 42점 34점 37점
6등급 24점 17점 19점
7등급 16점 9점 11점
8등급 11점 5점 5점
9등급 6점 이하 3점 이하 3점 이하

 

분석: 확률과 통계 선택자의 1등급 컷이 94점으로 가장 높아, 해당 과목이 상대적으로 쉽게 출제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반대로 미적분은 난이도가 높아 1등급 컷이 81점에 불과해 수험생 간의 점수 격차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영어 영역 등급컷 (절대평가)

영어는 절대평가로 시행되어 원점수 기준 등급컷이 다음과 같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등급  원점수
1등급 90점 이상
2등급 80점 이상
3등급 70점 이상
4등급 60점 이상
5등급 50점 이상
6등급 40점 이상
7등급 30점 이상
8등급 20점 이상
9등급 20점 미만

분석: 영어는 상대평가 과목과 달리 절대평가로 인해 실질적인 난이도와 등급 간 연관성이 적어, 변별력보다는 최소 기준 통과 여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사회탐구 영역 등급컷

2024학년도 사회탐구는 과목별 난이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일부 과목은 만점을 받아야 1등급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쉬운 과목도 있었습니다.

 

과목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생활과 윤리 50점 47점 43점 37점 29점
윤리와 사상 50점 - 45점 38점 25점
한국지리 50점 46점 43점 36점 26점
세계사 47점 45점 42점 35점 25점
사회문화 45점 41점 36점 29점 20점

분석: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한국지리 등의 과목은 1등급 컷이 만점 또는 거의 만점 수준으로 설정되어, 쉬운 출제 경향을 반영합니다. 이로 인해 상위권 간 점수 경쟁이 치열했습니다.


과학탐구 영역 등급컷

과학탐구 과목은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고르게 분산되었으며, 일부 과목은 난이도가 높게 책정되었습니다.

 

과목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물리학 I 43점 40점 35점 30점 21점
화학 I 47점 42점 35점 28점 18점
생명과학 I 47점 42점 37점 30점 21점
지구과학 I 48점 45점 41점 35점 25점

분석: 물리학 I이 상대적으로 가장 어려운 과목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지구과학 I은 높은 점수를 받아야 상위 등급을 받을 수 있는 과목이었습니다.


수능 등급컷을 통해 알 수 있는 입시 전략 포인트

  • 선택과목의 중요성: 같은 등급이라도 선택과목에 따라 실제 대학별 환산점수나 반영 비율이 다르므로, 전략적인 선택이 필요합니다.
  • 사회탐구와 과학탐구의 경쟁 구도 변화: 2024 수능에서는 과학탐구 응시자가 사회탐구를 역전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이는 자연계열 지원자들의 과탐 선호가 더 뚜렷해졌음을 시사합니다.
  • 과목별 유불리 고려: 특정 과목의 만점자 비율이 높거나 등급컷이 급격히 상승한 경우, 실제 대학 입시에서 평가에 불리할 수 있으므로 조합과 전략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수능 등급컷은 단순한 점수표가 아니다

2024학년도 수능 원점수 기준 등급컷을 종합해보면, 단순히 점수를 맞추는 것보다 어떤 과목을 선택하고, 어떤 전략으로 접근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입시에서 유불리를 판단하고, 대학별 반영 방식에 맞춰 자신에게 유리한 조합과 과목 선택 전략을 세우는 것이 관건입니다.

앞으로도 해마다 수능 난이도와 출제 경향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등급컷 분석을 기반으로 한 전략 수립이 매우 중요합니다.

 


※ 본 포스트는 2024학년도 수능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모든 자료는 공신력 있는 입시기관 및 수능 출제기관의 발표를 기반으로 정리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